오늘은 전원주택을 건축하실 때 고려해야 할 전원주택 땅, 부지, 토지 고르는 법과 확인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최근에 전원주택의 삶을 꿈꾸시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전원주택 부지를 고르기 위해 부동산 전문가에게 문의하시는 분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전원주택을 짓기 위한 첫 단계가 바로 땅을 고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부동산과 토지 전문가분들이 잘 설명해 주시겠지만, 실소유주인 건축주분들도 어떤 땅에 전원주택을 짓는 것이 좋은지 알고 계셔야 하기 때문에 전원주택 부지 고르는 법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1. 전원주택은 무조건 남향
거두절미하고 정남향으로 집을 지을 수 있는 땅과 부지를 고르십시오. 최근 신축되는 아파트는 남서향과 남동향으로 설계해서 정남향 아파트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정남향에만 수요가 쏠리기 때문에 방향을 약간 비틀어서 정남향의 수요를 반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그만큼 정남향의 집이 좋은 것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정남향의 집은 태양의 고도가 높은 여름에는 햇빛이 적게 들어오고, 고도가 낮은 겨울엔 햇빛이 많이 들어옵니다. 이는 전원주택의 약점인 관리비, 즉 냉난방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최근에서 단열시공의 기술이 좋아져서 큰 차이가 없다고 홍보하지만 실제로 겪어보시면 정남향 집의 위력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2. 강과 바다와의 적당한 거리
전원주택의 삶을 선택하는 이유는 바로 자연과 함께하면서 언제든 멋진 풍광을 내 눈에 담으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멋진 뷰 때문에 강이나 바다와 아주 인접한 땅을 선택하시는 것은 다시 한번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강이나 바다 근처에는 물안개, 습기, 벌레, 바다는 특히 염분이 섞인 습기로 인해 집기류의 부식과 곰파이 등으로 고생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고 해서 강과 바다가 보이지 않는 곳을 선택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지대는 약간 높은 땅을 추천드립니다. 이러한 땅을 선택하시면 훨씬 더 멋진 강뷰, 바다 뷰를 갖게 되실 겁니다.
3. 인접도로 소유권 확인
전원주택 가까이에 도로가 있어야 합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진입로가 좁은 땅들이 정말 많습니다. 도로 폭이 좁아서 큰 차량의 통행이 어렵다면 추후 토지의 가치 상승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진입도로가 개인 소유인 경우도 있습니다. 만일 진입도로 주인이 길을 막아버리면 통행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고, 이는 꽤나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진출입로의 소유권에 대한 것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절토나 성토된 땅은 제외
언덕이나 비탈진 땅에다가 전원주택을 건축하기 위해 부지의 모양을 잡는 방법으로 절토와 성토가 있습니다. 절토는 땅을 깎아서 만들고, 성토는 흙을 쌓아서 만듭니다. 성토한 땅은 지반이 단단하지 못해서 건축 후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있고, 절토한 땅은 옹벽이나 축대를 쌓아 보강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갑니다. 가능하면, 절토 또는 성토된 땅을 구입하는 것을 피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꼭 매매하셔야 한다면 최소 3년이 지나 땅의 모양이 잡히고 단단해진 부지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5. 지대와 주변 환경 반드시 확인
전원주택 부지가 저지대일 경우에는 홍수 등과 같은 침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고지대일 경우에는 산사태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강 주변이나, 토지 유실의 가능성은 없는지 반드시 전문가의 확인 절차를 거친 후에 매매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전원주택 부지가 도심일 경우에는 빌딩이나 아파트에서 가능한 멀리 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조권을 방해받거나 빌딩풍으로 인해 편안하고 안락한 전원주택의 삶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한 가지 더, 주변에 유해공장시설이나, 폐가, 축사 등의 시설이 있는 곳은 가능하면 피하시기 바랍니다. 소음이나 냄새 등으로 고통받으면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6. 반듯한 땅이 최고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여러 땅을 찾다 보면, 네모 반듯한 부지를 찾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건축주는 반듯한 직사각형의 땅을 선호하고 건물도 그렇게 짓기를 원하십니다. 너무나도 당연하게도 땅의 모양이 세모이거나, 꺽인 모양인 경우에는 건축 설계하기도 힘들고 일반적이지 못해 호불호가 갈리는 주택이 만들어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물론 건축주가 원하시는 방향과 맞아떨어지면 좋겠지만, 원하시는 건축설계 방향이 뚜렷하지 않으시다면, 네모 반듯한 땅을 고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댓글